본문 바로가기

ETC. 게임리뷰, 공략

서든어택2 선정성 논란, 한국 온라인 게임의 미래는?

반응형


■서든어택2 선정성 논란, 한국 온라인 게임의 미래는?

과거 한국은 명실상부한 온라인 게임 최강국이었다. 게임사들은 앞다퉈 대작 MMORPG, 온라인 게임들을 출시하였으며, 이러한 온라인 게임들의 성공은 게임사는 엄청난 성장을, 유저들에겐 즐거움과 함께 퀄리티 높은 게임을 즐기고 있다는 만족감 그리고 세계 정상 수준의 국산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함께 가져다주었고, 성공한 대작 온라인 게임은 또 다른 대작 온라인 게임을 낳는 선순환이 이어졌다.










■하지만, 최근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의 전망을 밝게 보는 이는 매우 적을 것이다. 유저나, 전문가 모두의 시각에서 말이다. 과거 빛났던 한국 온라인 게임 산업이 쇠퇴한 이유는 무엇일까? 청소년 셧다운 제도, 게임을 마약으로 분류하려는 정부 차원의 각종 규제, 게임의 높은 완성도를 통한 유저의 유입을 통해 정액제 수익 모델에서 게임머니 일명 '캐쉬'를 통해 게임 내부에 영향을 주는 많은 부분까지 유저에게 과금을 유도한 점, 그에 따른 유저들의 국내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과 해외 게임들의 성공 등 다양한 이유가 맞물렸다고 할 수 있다. 위 이미지, PC방 점유율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국내 게임들은 압도적인 차이로 해외 게임인 블리자드의 오버워치, 라이엇의 리그 오브 레전드에게 점유율을 빼앗긴 상황이며, 국내 게임이 다시금 점유율 1위로 올라서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시각도 상당히 많다. 특히나 과거 국내 게임산업을 빛냈던 여러 메이져 게임사들은 이미 온라인 게임 시장을 포기한 듯한 행보를 보이며 모바일 게임 분야 투자를 지속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어두워 보인다.







■이러한 와중에 공개된, 넥슨이 300억을 들여 개발한 대작 FPS 서든어택2는 국내 온라인 게임 유저들에게 남아있는 작은 기대감마저 꺾어버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게임은 게임성이나 FPS로서의 완성도 보다 '선정성'에 집중한 FPS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완성도 부족의 한 예로, 실제 총기에 대한 이해가 전혀 느껴지지 않는 리볼버 재장전 모션 등이 있다.) 여느 국산 온라인 게임이 그랬듯 서든어택2 역시 미인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점 자체는 부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인게임 상태에서의 노골적인 선정적 표현에 있다. 아래 이미지를 보자.








■서든어택2의 여성 캐릭터들은 FPS, 총기 전투에 적합한 복장인지 의문이 드는 전신 수영복 형식의 하의나 핫팬츠 등의 복장을 하고 있으며 사망시 마치 의도한 듯한 선정적인 모션이나 표정 등을 하며 쓰러진다. 한술 더 떠서 총기를 맞고 사망할 때는 상당한 빈도로 다리를 쭉 벌리거나 엉덩이 쪽을 드러내며 사망한다. 이러한 사항들은 넥슨이 게임 개발 단계에서 서든어택2의 선정성 자체를 의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서든어택2를 보며, 온라인 게임 유저들은 개발비 300억원을 들인 '야겜'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넥슨, 서든어택2의 행보는 PC방 점유율 1위를 굳히고 있는 블리자드의 오버워치와 대조된다.




■오버워치는 PTR, 테스트 서버를 통해 지속적으로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과 캐릭터간 벨런스 완벽히하는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테스트 서버와 영상을 통해 공개한 오버워치의 신캐릭터 아나는 60세의 할머니 캐릭터이지만, 엄청난 카리스마와 스토리적 완성도, 특색있는 능력 등을 보여주며 벌써부터 유저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당연히 이에 따라 블리자드 역시 유저들의 극찬을 받는 중이다. 여성성과 선정성만을 강조한 넥슨 서든어택2의 캐릭터와는 굉장히 비교되는 부분이다.






■앞으로의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 산업이 다시금 부흥하게 될지, 아니면 이대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될지는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대한민국 게임사들이 현재의 낡은 방식과 게임의 완성도를 추구하기보다 돈을 빨아들이기 위한 게임 컨셉에서 탈피하지 못한다면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은 이대로 쇠퇴를 거듭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번 넥슨 서든어택2의 선정성 문제와 오버워치의 신캐릭터 이슈는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산업이 처한 문제점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그리고 나아갈 방향을 어느정도 제시해준 사례가 아닐까?


반응형